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S_visual.png
경기신용보증재단 메인페이지 바로가기

처리절차안내

채권추심업무 처리절차 안내사항

  • 보증부대출 건에 대한 대위변제 이후 다음과 같은 채권추심 행위가 이루어집니다. 당사의 채권추심 업무진행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담당지점(부서) 또는 대표번호(1577-5900)로 연락하여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채무정리에 대한 안내문’, ‘법적절차착수통지서’ 등의 우편물을 발송하여 채무상환을 요구하게 되고, 채무불이행 시 불이익(연체정보 등록에 따른 금융거래 제한 등)에 대한 안내를 하게 됩니다.
    • 우편물과 별도로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통해 채무상환을 요구하게 되며, 채무불이행 시 불이익에 대한 안내를 하게 됩니다.
    • 우편물이나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채무상환 요구에도 불구하고 변제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귀하와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에는 우편물이나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방문추심’에 관한 사전 안내를 한 후 채무상환 요구나 소재파악 또는 재산조사 등을 위해 자택이나 근무지, 기타 소재지에 대한 방문을 할 수 있습니다.
    • 상당기간 채무변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우편물이나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채권자 또는 채권자협의회에 의한 채무금액 강제회수에 관한 법적조치(가압류신청, 지급명령신청, 강제경매신청 등) 예고통보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불구하고 변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법원으로부터 집행권원을 부여받아 강제집행을 통한 채권 회수를 하게 됩니다. 그 밖에도 채권자 또는 채권자협의회에 의하여 법원에 재산관계명시 신청이나 채무불이행등록 신청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채권추심자의 의무와 추심에 관한 개인금융채무자의 권리

  1. 01채권추심자는 각 채권별로 7일에 7회를 초과하여 개인금융채권의 추심을 위한 연락*을 해서는 안됩니다.
    • 약관 또는 법령 또는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채무자에게 통지해야 하는 사항을 통지하거나 채무자의 문의에 대한 답변 또는 요청에 따른 통지로 같은 날 이루어진 통지는 추심연락으로 보지 않음

      추심연락횟수에서 제외되는 사항

      • 채권자, 채무금액, 연체금액 및 연체기간 등 추심대상 채권에 관한 사항의 단순통지로 별도의 상환독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 (단 1일 1회만 제외)
      • 채권추심자가 개인금융채무자를 방문하였으나 부재중이어서 만나지 못한 경우 등 추심연락이 개인금융채무자에게 도달하지 않은 경우
        • (단, 방문의 경우 7일에 2회만 제외)
      • 채무자가 전화를 받은 뒤 일방적으로 끊는 등 독촉에 필요한 통화를 마치지 못한 경우로서 같은 날 이루어진 2회 이내의 전화 통화
  2. 02채권추심자는 채무자가 아래의 사실에 해당된다고 채무자로부터 확인한 경우 그 확인한 날로부터 3개월의 범위 내에서 추심 연락의 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채무자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61조에 따른 재난지원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
    • 채무자 또는 그 직계 존·비속, 배우자 또는 그 직계 존·비속이 사고·질병 등으로 수술을 받거나 기타 입원한 경우(단, 동일한 사유로 인한 추심연락 유예는 1회에 한함)
    • 채무자 또는 그 직계 존·비속, 배우자 또는 그 직계 존·비속의 혼인·장례(단, 동일한 사유로 인한 추심연락 유예는 1회에 한함)
    • 천재지변으로 추심연락에 응하는 것이 명백하게 곤란한 경우
  3. 03채무자는 1주 28시간 이하로 추심연락을 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특정주소지의 방문, 특정 전화번호로의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특정 이메일 계정으로의 이메일 전송, 특정 팩스번호로의 전송 등 추심연락 수단 중 2가지 이하의 수단을 정하여 추심연락을 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단, 전화와 방문은 동시에 제한할 수 없음)

채권추심 관련 채무자 지원 제도

  1. 01채무자대리
    • 채무자는「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제8조의2에 따라 등록·미등록 대부업자의 채권추심에 응하기 위해 변호사법에 따른 변호사·법무법인· 법무법인(유한) 또는 법무조합을 대리인으로 선임하실 수 있으며,만약, 등록·미등록 대부업자로부터 법정최고금리를 초과한 대출을 받았거나 불법채권추심피해를 입은 경우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불법사금융신고센터(☏1332(3번)) 또는 대한법률구조공단(☏132)을 통해 무료로 채무자대리 및 소송대리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02분쟁조정 및 채무부존재확인 소송
    • 채무자는 금융회사 및 시·도지사에 등록한 대부업자와 분쟁이 발생한 경우 금융감독원(www.fss.or.kr) 및 대부업자가 등록한 시·도지사에 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채권자와 채권의 존재 여부에 다툼이 있는 경우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03불법추심 등 신고·상담
    • 불법추심, 고금리 등 불법사금융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였다면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신고센터(☏1332(3번))을 통해 신고·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보제공부처 : 채권관리부
  • 문의 : 1577-5900

[]   콘텐츠 만족도 조사

고객님,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평가하기

의견에 대한 답변을 원하실 경우 홈페이지 개선의견이나 고객의 소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AI검색 버튼을 클릭하세요

경기신용보증재단 AI 검색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질문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클라우드와의 연결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시거나, 아래 버튼을 클릭하셔서
통합검색에서 홈페이지 내 해당 키워드를 검색해보세요.

경기신용보증재단 AI 답변해드릴게요!

궁금한 키워드를 직접 검색하고 싶다면 DB검색을 이용해보세요.

예시) “특례보증” 입력 시, 특례보증과 관련된 홈페이지 내 모든 정보를 검색 가능

DB검색 바로가기

통합검색결과

  • AI에게 질문하시면 통합검색 결과도 함께 보여드려요.

지난 검색

사이트맵 닫기 버튼